본문 바로가기
뇌사용법

망상활성계 (RAS) 가 목표를 이루는 뇌의 내비게이션이 되는 원리

by gomm-b 2025. 4. 7.

 

하루에도 수천 가지 생각과 정보 속에서 우리는 왜 특정한 것에만 집중하게 될까요?

어떤 목표는 금방 이루어지는 듯한데, 어떤 목표는 왜 흐릿하게 사라져버릴까요?

 

 

 

이 모든 중심엔 우리 뇌 속의 놀라운 시스템, RAS가 있습니다. 

 

오늘은 Reticular Activating System(망상활성계)가 어떻게 목표 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그리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RAS(망상활성계)는 뇌의 필터이자 방향 설정기

RAS(Reticular Activating System)는 뇌간에 위치한 신경망입니다.

이 시스템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수많은 자극 중에서 어떤 정보가 중요한지, 어떤 것을 주의해야 할지를 결정합니다.

 

쉽게 말해, RAS는 뇌의 스팸 필터이자 목표를 향한 내비게이션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심리학자 Donald Broadbent의 *선택적 주의 이론(Selective Attention Theory)*으로도 설명됩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외부 자극을 개인의 동기, 목적, 감정에 따라 필터링합니다.

 

RAS는 이때 ‘물리적 필터’ 역할을 하며, 우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보만을 뇌로 통과시킵니다.
결국, 우리가 어떤 것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뇌가 보는 세상이 달라지는 셈이죠.

 

RAS(망상활성계)가 작동하는 실제 예시

 

예시 1. 자동차가 눈에 띄는 이유

 

“차를 바꿔야겠다”라고 생각하는 순간,
거리에 보이는 자동차 브랜드와 색상, 디자인이 전보다 훨씬 눈에 잘 들어옵니다.

이는 RAS가 자동차와 관련된 정보를 필터링해서 전면 인식하게 만든 결과입니다.

 

예시 2. “책을 써야지”라고 다짐한 순간

 

글을 써야겠다고 결심한 뒤,
주변 대화나 광고 문구, SNS 게시글에서 아이디어와 문장이 자꾸 눈에 띄게 됩니다.

사실 뇌는 원래 그 정보들을 모두 알고 있었지만, 이제야 RAS가 “이건 중요해!”라고 판단해 전면에 띄운 것이죠.

 

 

목표 달성을 위한 RAS(망상활성계) 활용 공식

 

RAS는 훈련할 수 있습니다.
아래 3단계 활용법을 통해 뇌를 목표 달성에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1단계: 목표를 명확하게 ‘보이게’ 만들자


막연한 희망보다 정확한 이미지와 구체적인 문장이 필요합니다.
예: “부자가 되고 싶어” → “3년 안에 월 500만 원 수익을 만든다.”

 

2단계: 반복적으로 RAS에 신호를 주자


종이에 써 붙이기
다이어리에 매일 기록
핸드폰 배경화면 활용

이처럼 반복 노출은 RAS에 “이건 중요해!”라는 신호를 각인시켜줍니다.

 

3단계: 열린 태도로 정보에 접근하자


RAS는 관련된 사람, 기회, 정보를 스스로 찾아냅니다.
하지만 우리가 "불가능해"라고 단정짓는 순간,

RAS는 그 정보조차 걸러내버립니다.

 

 

결론: 당신의 뇌는 당신이 믿는 대로 작동한다

 

당신이 반복하고 믿는 목표는, 뇌가 알아서 현실로 만들기 시작합니다.
RAS는 단순한 신경망이 아니라, 정보와 기회를 인식하게 해주는 ‘인지적 GPS’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