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초보 탈출! 쉽고 재미있는 돈 공부

8. 돈 모으는 게 어렵다면? 예·적금만 제대로 활용해도 1천만 원 모인다!

by gomm-b 2025. 3. 17.

 

재테크를 시작하고 싶은데, 주식이나 부동산은 어렵고,
일단 안전한 곳에 돈을 모으고 싶다!

예적금만 제대로 활용해도 1천만 원 모인다

 

 

예적금은 재테크 초보자가 가장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예금.적금을 넣는 것보다, 목적에 맞게 활용해야 합니다.

오늘은 ‘재테크 초보’를 위한 현실적인 예·적금 활용법과 실전 예제를 소개합니다!

 

 

예금 vs 적금, 뭐가 다를까? (초보자가 헷갈리는 개념 정리)

구분 정기예금 (예금) 정기적금 (적금)
목적 목돈을 안전하게 불리기 매달 일정 금액을 모으기
이자 지급 방식 원금에 대해 한 번에 이자 지급 매달 넣는 금액에 대해 쌓이는 이자
가입 방식 한 번에 목돈을 넣음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
이자 계산 복리 또는 단리 적용 단리 적용 (매월 다른 기간 적용)
추천 대상 이미 모아둔 목돈이 있는 사람 꾸준히 돈을 모으고 싶은 사람

 

적금은 돈을 모으는 과정, 예금은 모은 돈을 불리는 과정!

 

 

 

 

예적금 활용법

① 비상금(생활비 3~6개월치) → 파킹통장 & 자유입출금 예금 활용!

 

언제든 인출이 가능해야 하므로 정기예금 NO!

1~2% 금리라도 받을 수 있는 파킹통장 활용!

비상금 운용법

월급 300만 원 받는 직장인 A씨

- 6개월 생활비 600만 원을 비상금으로 확보

- 300만 원 → 파킹통장 (금리 연 3%) 예치 → 매달 이자 발생

- 300만 원 → 자유입출금 예금 (금리 연 2%)

 

비상금은 바로 쓸 수 있어야 하므로, 이자가 높아도 정기예금에 묶지 않는다!

 

 

 

 

 

② 단기 목표 자금 (1~3년 내 결혼, 전세금 등) → 정기적금 활용!


단기적으로 돈을 모아야 하는 경우, 적금이 적합!
적금은 강제 저축 효과가 있어 돈이 모이기 쉬움.

단기자금목돈마련활용법


결혼을 준비하는 직장인 B씨 (2년 후 목표, 2,000만 원 필요)
- 매월 83만 원씩 정기적금 (연 4%) → 만기 시 약 2,030만 원
- 보너스 등을 활용해 연말에 추가 적금 가입

목돈이 없는 상태에서 목표 자금을 모을 땐 적금이 필수!

 

 

 

 

 

③ 목돈을 불릴 때 (3년 이상 장기 자금) → 정기예금 활용!

 

예금은 돈을 묶지만, 적금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예금을 활용하면 추가 이익 가능!

 

목돈을 불릴 때 3년 이상 장기 자금

 

1,000만 원을 운용하고 싶은 직장인 C씨

- A은행 정기예금 (연 4.5%, 1년 만기) 가입 → 만기 시 이자 약 45만 원

- 예금자 보호 한도(5천만 원) 내에서 고금리 저축은행 예금 활용 가능

3년 이상 쓰지 않을 돈이라면 예금으로 확정 이자를 받는 것이 안전!


 

 

 

④ 예적금을 최대한 활용하는 실전 전략

 

최대한 금리가 높은 상품을 찾아 활용하라!

기간을 나눠 분산 투자하면 이자 손해를 줄일 수 있다.

 

 

1,000만 원을 한 군데 넣지 않고 3군데로 분산

- 300만 원 → 6개월 예금 (연 4%)

- 300만 원 → 1년 예금 (연 4.5%)

- 400만 원 → 2년 예금 (연 5%)

 

기간을 나눠 가입하면, 금리가 오를 때 추가 이익을 볼 수 있다!

 

 

예적금 활용 시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팁

① 금리는 시중은행보다 저축은행이 더 높다!

- 시중은행(국민, 신한, 하나)보다 저축은행(OK, 웰컴저축은행 등)의 금리가 높음.
- 예금자 보호법으로 5,000만 원까지 원금 + 이자 보장되므로 안심하고 활용 가능!

금리가 높아도 안전한 곳에 예금하는 것이 중요!

 

② 예적금 만기일은 꼭 챙겨야 한다!

- 예적금은 만기 후 자동 연장될 경우 금리가 낮아질 수 있음!
- 만기일 전에 해지 & 재가입 여부를 체크하라.

만기 후 금리가 낮아지기 전에 재테크 전략을 다시 세우자!

 

③ 금리 비교 사이트를 활용하라!

- 금리는 매달 변동되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함.
-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를 활용하면 가장 높은 금리의 상품을 찾을 수 있음!
- 금리 비교 사이트 추천 : 금융상품 한눈에 (https://finlife.fss.or.kr/finlife/main/main.do?menuNo=700000) → 예적금 금리 비교 가능

은행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온라인에서 쉽게 금리를 비교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