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초보 탈출! 쉽고 재미있는 돈 공부

7. 월급을 받으면 해야 할 3가지 – 직장인 공감 100%

by gomm-b 2025. 3. 16.

 

 

월급날 통장은 잠시 스쳐 지난갈 뿐...

월급날이 되면 기쁘지만, 며칠 지나면 잔고가 바닥을 치는 기분

한 달 내내 열심히 일했는데, 왜 남는 돈이 없는 걸가?

저축도 하고 싶고, 투자도 해야 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이 고민을 해결하려면, 월급을 받자마자 3가지 원칙을 실천하면 된다.

돈을 관리하는 습관이 바뀌면, 재테크는 저절로 된다!

7. 월급을 받으면 해야 할 3가지 - 직장인 공감 100%

 

1. 월급이 들어오면, 저축부터 빼라

저축은 남은 돈이 아니라, 먼저 빼놓아야 가능한 것!

 

‘잔액 저축형’ 직장인 A씨 (30대, 월급 280만 원)

월급날이 되면 "이번 달은 저축 좀 해야겠다"라고 다짐

하지만 월세, 카드값, 공과금, 친구들과 술자리, 쇼핑 후 남은 돈 = 10만원

다음 달에는 꼭 저축해야지!"... 그리고 반복, 

 

'선저축 후소비' 직장인 B씨 (30대, 월급 280만 원)

월급이 들어오면 바로 50만 원을 자동이체 → 고금리 저축 통장으로 이동

고정 지출을 제외한 금액에서 소비 조절.

한 달이 지나고 보니 매달 꾸준히 돈이 쌓이고 있음

 

 

결국 A씨는 저축할 돈이 남지 않지만, B씨는 강제 저축으로 돈이 모인다.

돈이 모이는 사람 VS 돈이 새는 사람의 결정적 차이!

 

 

실천법

1. 월급의 20~30%를 강제 자동이체 (예금, 적금, 파킹통장 등)
2. 월급 통장과 저축 통장은 반드시 분리 (눈에 보이면 쓴다!)
3. 비상금 통장은 따로 만들고, 생활비는 남은 금액 내에서 조절

 

저축은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빼놓는 것이다!

 

 

2. 고정 지출을 먼저 정리하라!(가계부 없이도 소비 통제 가능)

내 월급에서 꼭 빠져나가는 돈부터 체크하면 소비 습관이 보인다!

 

 

직장인 C씨의 고정 지출 (월급 320만 원)

월세 : 60만 원

대출 상환 : 40만 원(학자금, 자동차 할부 등)

공과금 & 통신비 : 20만 원

보험료 : 15만 원

카드값 : 50만 원

 

아무 생각 없이 살다보면 월급의 절반이 고정 지출로 빠져나간다.

 

 

직장인 C씨의 문제점

불필요한 정기 구독 서비스 (넷플릭스, 디즈니+, 유료 앱 등)
사용하지 않는 헬스장 회원권 유지
매달 쌓여가는 카드값, 할부로 구매한 물건들이 부담

실천법

1. 고정 지출을 먼저 정리하고,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기
2. 정기 구독 서비스 점검 후 안 쓰는 것 해지
3. 카드값을 줄이기 위해 소비 패턴 점검 (가계부 필수, 은행 앱 활용)

 

고정 지출을 줄이면, 월급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난다!

 

 

 

3. 남은 돈으로 투자하고, 소비 습관을 바꿔라

투자를 해야 돈이 불어난다! 하지만 무리한 투자는 금물

직장인 D씨의 투자 & 소비 패턴 (월급 350만 원)

월급에서 저축, 고정 지출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 120만 원

투자 60만 원 → ETF, 배당주, 연금저축펀드

소비 60만 원 → 식비, 여가비, 유흥비 조절

 

D씨의 투자 습관 체크

안전하게 돈을 불리는 투자 먼저 → S&P 500 ETF, 배당주, 연금저축펀드

한 번에 몰빵 NO! 적립식 투자로 리스크 분산

생활비 조절 &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 활용

 

"투자는 거창한 것이 아니라, 월급에서 남은 돈을 꾸준히 굴리는 것이다!"

 

 

 

월급을 받으면 무조건 해야 할 3가지!

1) 저축부터 빼놓아라! (선저축, 후소비)

월급이 들어오면 20~30% 자동이체

월급통장 ≠ 저축통장 (분리해서 관리)

남은 돈으로 소비하는 습관 만들기

 

2) 고정 지출부터 정리하라!

월급에서 꼭 빠져나가는 돈 (월세, 대출, 공과금, 카드값 등) 체크
불필요한 정기 구독 해지 (넷플릭스, 유료 앱, 헬스장 등)

카드값을 줄이고, 소비 패턴을 점검하는 습관 만들기

 

3) 남은 돈으로 투자하고, 계획적으로 소비하라!

ETF, 배당주, 연금저축펀드 등으로 투자 시작
소비도 계획적으로 (필요한 소비 vs 불필요한 소비 구분)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 활용 → 불필요한 지출 방지

 

월급은 잘 쓰는 것보다,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부터라도 월급 관리 습관을 바꾸면, 재테크는 저절로 된다!